[카테고리:] 영상 제작 이론
11. 화면의 구성 : 시각화 (Visualization)
/
시각화 라는 것은 어떠한 장면을 하나의 샷 혹은 하나의 샷 시퀀스로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즉, 하나의 상황을 영상 이미지로 형상화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어떤 장면을 시각화할 때 변하지 않는 원칙이 있다면 그것은 상황의 ‘명료화(Clarification)’ 원칙과 ‘강조(Intensification)’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가지 원칙은 보통 동시에 적용되어야 한다. 어떤 장면을 ‘명료화’ 시키기 위해서는, 시청자들이 피사체가…
10. 3차원 영역 : 화면의 입체감 (Building Screen Volume)
/
2차원 화면에 3차원 영역을 나타내어 화면의 입체감 을 주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Z-축 상의 각기 다른 지점에 서로 다른 심도면(depth plane)을 구성하면 화면에 입체감을 줄 수 있다. 3차원 영역의 가장 기본적인 구조는 전경, 중경, 원경으로 되어 있다. 다른 미학적 영역과 마찬가지로 3차원 영역을 표현할 때도 물체와 카메라의 움직임, 그리고 샷의 연결과 같이 변화하는 화면의…
9. 3차원 영역 : 화면의 깊이 와 볼륨 (Depth and Volume)
/
회화나 스틸사진과 마찬가지로 영상은 ‘ 화면의 깊이 ‘가 느껴지는 3차원 공간을 촬영하여 2차원 영역에 표현한다. 다행히 카메라와 광학 시스템으로 촬영한 그 평면적인 영상을 우리는 3차원적 속성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회화나 스틸사진과 마찬가지로 영상에서의 3차원 공간은 엄밀한 의미에서 실체가 없는 공간이다. 영상의 화면인 2차원 평면 공간에 3차원 세계를 보여줌으로써 렌즈는 화면의 깊이감을 표현하기 위해서…
8. 2차원 영역 : 힘(forces) 의 상호작용
/
2차원 영역을 구축한다는 것은 화면 내의 여러 가지 힘(forces) 을 이용하여 힘있고 명료한 화면을 구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가나 스틸사진 작가들은 하나의 사진에 전체적인 구도의 효과를 나타내려고 한다. 사진의 구성 요소들은 한번 배치하고 나면 변화 시킬 수 없다. 그러나 영상의 화면은 그렇지 않다. 영상 화면의 구성 요소들은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변화하는 구도에 대해서 더 많이 연구해야…
7. 2차원 영역 : 힘(Forces) within The Screen
/
공간을 미학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영상의 화면을 새로운 표현영역으로 확대시켰다. 이 새로운 영역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 힘(forces) ‘의 요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1) 힘의 방향 (2) 화면의 자성과 질량의 인력 (3) 화면의 비대칭성 (4) 주피사체와 배경 (5) 심리적 클로우저 (6) 벡터 힘(forces) 의 방향 : 수직과 수평 (Horizontal and Vertical) 텔레비전과 영화 화면은…
6. 2차원 영역 : 구도 (Composition)
/
영상의 구도 를 만드는 화면 구성요소에 대해 알아보자 영상의 화면은 우리에게 미학적 표현을 위한 새로운 공간을 제공하고 그 공간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여기에서 말하는 공간이란 우리의 일상적인 생활공간이 아니라 화면 속의 공간을 말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보는 것이 아니고 카메라가 보는 것이다. 그러면 구도를 만들어 내는 화면의 종횡비와 화면의 구성 요소에 대해…
5. 색의 기능 과 구도 Function and Composition of Color
/
미디어의 주제를 ‘명료화’하고 ‘강조’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색의 기능 과 구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1) 정보기능 (2) 구도기능 (3) 감정표현 기능 색의 기능: 정보 기능 (Information Function) 우리는 색을 통해서 물체를 구별하고 색코드로 전선을 식별하는 등 색을 이용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색은 물체를 좀더 사실적으로 표현할 뿐만 아니라 그 상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4. 색 (Applied Media Aesthetics : Color)
/
우리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색 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지만 색을 인식하는 지각기능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이 없었다. 몇 가지 이론들이 있었지만 그 중 어느 것도 색에 대한 모든 지각 현상을 설명할 수는 없었다. 또한 색은 지극히 상대적이어서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 이렇게 색은 상대적이며 그 과학적인 연구가 충분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색에 대한 내용을…
3. 조명 (Structuring the First Aesthetic Field : Lighting)
/
조명 이란 특수한 미학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빛과 그림자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모든 조명은 빛과 그림자의 상호작용으로써 화면에 나타난다. 그 중에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대비시켜서 명암비를 강조하는 조명방식을 ‘키아로스큐로(chiaroscuro) 조명’이라고 한다. 반대로 명암비를 낮춘 방식을 ‘평면 조명(flat lighting)’이라고 한다. 표준조명기법 (Standard Lighting Techniques) 표준조명기법은 ‘사진조명기법’이라고도 하는데, 키라이트(Key Light), 필라이트(Fill Light), 백라이트(Back Light) 등을 삼각형으로…
2. 제1미학 : 빛 (The First Aesthetic Field : Light)
/
빛 은 모든 생명체가 생존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요소이며, 시각 인식에 필요한 주된 요소로서 우리에게 시간과 공간을 알려주고 우리의 정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영상은 빛의 예술이다. 빛으로 모든 영상을 만들어낸다. 그러므로 빛을 제어하는 것, 소위 ‘조명’이라고 하는 것은 영상 미학의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명이란 특별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빛과 그림자를 인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