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 이란 특수한 미학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빛과 그림자를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모든 조명은 빛과 그림자의 상호작용으로써 화면에 나타난다.
그 중에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대비시켜서 명암비를 강조하는 조명방식을 ‘키아로스큐로(chiaroscuro) 조명’이라고 한다.
반대로 명암비를 낮춘 방식을 ‘평면 조명(flat lighting)’이라고 한다.
표준조명기법 (Standard Lighting Techniques)
표준조명기법은 ‘사진조명기법’이라고도 하는데, 키라이트(Key Light), 필라이트(Fill Light), 백라이트(Back Light) 등을 삼각형으로 배치하는 조명기법이다.
백라이트를 카메라의 반대편, 피사체의 뒤쪽에 두고 키라이트와 필라이트를 피사체의 측면 앞에 위치시킨다.
그래서 이 표준조명기법을 ‘삼각조명(Triangle Lighting)’이라고도 부른다.
키라이트는 주광원으로 한 물체나 한 장면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백라이트는 피사체를 배경과 분리시켜 두드러지게 한다.
필라이트는 폴오프를 조절한다.
그 외 부가적인 조명으로는 사이드라이트, 키커라이트, 배경조명이나 세트라이트 등이 있다.
명암대비 조명 (Chiaroscuro Lighting)
폴오프가 빠르고 명암비가 큰 조명을 말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은 공간을 표현하고 물체의 3차원적 특성을 강조하여 그 장면의 이미지를 강렬하게 나타내는 데 있다.
이 조명을 하게 되면 피사체의 입체감이 살아나고 극적인 효과를 더할 수 있다.
명암대비 조명의 기능
명암대비 조명의 기능에는 일반적 기능과 심리적 기능이 있다.
일반적 기능에는 구조적 기능, 관심유도 기능, 공간구성 기능 등이 있으며, 심리적 기능에는 주제 기능, 감성 기능 등이 있다.
구조적 기능 (Organic function)
실제 화면에 나타난 테이블, 전등, 촛불, 태양 등과 같은 광원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말한다.
관심유도 기능 (Directional function)
조명을 사용하여 시청자들의 관심을 화면의 특정 부분에 집중시킬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은 무대 조명, 회화, 스틸사진, 영화 등에서는 대단히 중요하지만 텔레비전에서는 그렇게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
텔레비전은 조명의 효과보다는 클로즈업으로 시청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공간구성 기능 (Spatial/compositonal function)
화면 내에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은 서로 균현을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균형 잡힌 명암의 분배를 통해서 피사체의 입체감, 윤곽, 전경과 배경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주제 기능 (Thematic function)
조명은 화면의 주제와 스토리를 강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감성 기능 (Emotional function)
감성 기능은 주제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명암대비 조명의 감성 기능은 화면의 실제 피사체와는 관계없이 우리의 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대개 주제 기능과 감성 기능이 서로 상호 보완작용을 한다.
특수 명암대비 조명방식 (Specific Chiaroscuro Lighting Types)
램브란트 조명방식(Rembrandt Lighting)

램브란트 조명방식의 특징은 선택조명에 있다.
화면의 특정 부분만 조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은 의도적으로 조명을 하지 않거나 혹은 아주 약하게 조명을 한다.
그래서 이 화면의 폴오프는 상당히 빠르다.
램브란트 조명방식이 카메오 조명방식과 다른 점은 그림자가 좀더 부드럽고 배경이 전체적으로는 어두우나 부분적으로 조명을 하였기 때문에 인물(피사체)을 배경과 분리시킨다는 점이다.
카메오 조명방식(Cameo Lighting)
카메오 조명방식은 극단적인 명암대비 조명방식이다.
이 조명방식은 밝은 피사체가 어두운 배경과 뚜렷이 구분되는 카메오 스톤을 그대로 모방하여 전경의 인물에만 조명을 하고 배경은 완전히 어둡게 처리하는 방식이다.
지향성이 강하고 폴오프가 빨라 진한 표면그림자와 뚜렷한 투영그림자를 만든다.
평면 조명 (Flat Lighting)
평면 조명방식은 명암대비 조명방식과 정반대의 조명방식이다.
확산조명을 사용하여 폴오프가 느리고 표면그림자와 투영그림자를 거의 느낄 수 없다.
따라서 우리는 평면 조명에서 주광원을 거의 의식하지 못한다.
평면 조명의 기능
가시성(Visibility)
평면 조명은 하이키로 처리하여 보기가 쉬우며 명암대비 조명과는 달리 전체 화면을 고르게 조명한다.
연속적인 연기에 가장 적합하며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으며 연기자들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되어 연기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지만 폴오프가 느리기 때문에 물체의 질감이나 입체감을 잘 나타내지 못한다.
주제기능과 감성기능(Thematic and emotional function)
평면 조명에서 주제기능과 감성기능은 기능상 중복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함께 설명하기로 하겠다.
평면 조명은 능력, 청결, 진실, 행복감, 즐거움 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지만, 기계화, 몰개성화, 그리고 방향감각 상실 등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인간적인 따스한 온전이 결여되고 있다는 비언어적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취조실에 있는 죄수의 단절감을 표현하고 싶다면, 흰색의 방에서 완전한 평면 조명을 사용하여 ‘화이트 아웃’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그리고 하이키 방식의 평면 조명은 역동적인 힘과 즐거움을 표현할 수 있다.
실루엣 조명 (Silhouette Lighting)
이 조명방식은 명암대비 조명방식도 평면 조명방식도 아니며 그 두 가지 조명방식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
극단적인 명암비를 가진다는 점에서는 명암대비 조명방식이며, 입체감이나 질감묘사보다 윤곽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평면 조명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실루엣 조명방식은 카메오 조명방식과는 정반대의 조명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실루엣 조명방식은 배경만 조명하고 인물은 조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역광으로 인해 피사체가 보이지 않는 등의 의도하지 않은 실루엣 효과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내부 조명 (Internal Lighting)
일반적인 조명 하에서 혹은 야외 촬영을 할 때 우리는 ‘외부광원’을 이용한다.
이때 외부광원이라고 하는 것은 인공적인 조명기구에 의한 빛이나 자연적인 태양광을 말하는데, 이러한 광원에서 빛이 나오고 이 빛은 카메라의 렌즈에 포착된다.
그러나 텔레비전에서는 ‘내부광’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광원이 있다.
이것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명도, 콘트라스트, 색상 등을 조절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내부광은 텔레비전 화면에 영상을 만드는 전자빔을 조절하는 것이지 실질적인 광량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다.
그렇지만 이 내부광의 변화가 화면상에서 광량의 변화로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는 이 내부광의 변화를 ‘내부조명’이라고 한다.
답글 남기기